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게시판
  2. 드론정보팁

드론정보팁

헬셀 [드론사용방법, 드론팁]을 알려드립니다

게시판 상세
제목 쿼크 변속기 쿼크33 나혼자 세팅해보자 !!!
작성자 헬셀 (ip:)
  • 평점 0점  
  • 작성일 2008-01-01 22:53:56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1384

많은 분들이 쿼크 변속기 세팅을 어려워 하시는것 같습니다.
저두 처음에는 머가 먼지 마구 마구 헬갈려서? 전혀몰랐죠 @@
항상 변속기만은 세팅을 부탁했었습니다.

렙톤때 여러가지 변속기를 써보았는데 제 짧은 경험으로는 해커, 제티, 피닉스 모두
쿼크보다 못했던것 같습니다. 아주 개인적 느낌입니다. 냠냠

무엇이던 그렇지만 알고보면 별것 아니라고 부족하지만 제가 아는 선에서 한번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
아니 설명이라기 보다 제 세팅값을 주저리 쓰겠습니다.



먼저 BEC를 따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쿼크는 기본 내장 BEC 가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가운데 붉은선을 빼주셔야 합니다. 최근에는 모든분들이 BEC를 사용하시는 같더군요



가운데 선을 빼셨으면 위 그림에서 밧데리 연결부에 플러스 마이너스에 BEC를 연결하시고
그림과 같이 모터, 수신기에 연결하세요
최근에 나온 S&T의 신형 PRO BEC 의 경우에는 시그널 선을 빼주셔야 수신기에서 동작합니다.
1번 그림에 오랜지선입니다.

자 이제 세팅을 시작해보아요 ^^

제일 먼저 스로틀중립 설정을 해야합니다.

1. 맨 먼저 스로틀스틱을 중간정도에 두시고 송신기를 켭니다
2. 그런다음 변속기에 있는 버튼을 누른상태로 변속기를 켭니다.
3. 그리고 넉넉하게 약 3초 정도 있다가 변속기에서 누르고 있던 버튼을 놓고
4. 스로틀 스틱을 천천히 움직여 내리면 1회의 비프음이 울리고 LED 가 깜박거립니다.
5. 이상태가 스로틀 중립설정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6. 이후 스로틀을 가장 아래로 내리고 버튼을 누르면 1회의 비프음이 울리고
7. 다음 가장 위로 풀스로틀 위치에서 또 버튼을 누르면 1회의 비프음과는 다르게
    저장이 완료되었다는 비프음이 나옵니다. 4번 울리네요
( 위와 같이 설정이 안되고 비프음도 나지 않는경우에는 스로틀 리버스를 점검해보세요 )

자 이제  본격적인 세팅에 들어갑니다.

쿼크 세팅에는 EASY 세팅과 ADVANCED 세팅이 있는데 복잡한듯 하지만
알고보면 별것 아닙니다. 거버너 세팅 전단계 까지 1분도 안걸립니다.

먼저 EASY 세팅을 해주세요


1. 세팅에 모드로 들어가는 방법은 송신기를 켜둔상태에서 스로틀 포지션을 맨위 풀로 올려둡니다.
2. 그후에 변속기를 켜면 비프음이 들립니다.
3. 그리고 변속기의 버튼을 누르시고 누르신 상태에서 아래로 끝까지 내립니다.
4. 끝까지 내리면 또 다시 여러번의 비프음이 들립니다. 그 후에 바로 버튼에서 손을 떼지마시고
5. 그대로 넉넉히 3초 정도 누르고 있다가 버튼을 놓습니다.
6. 그럼 여러번 띠리리리리 하고 비프음이 납니다.
7. 그런 다음 스틱을 위 아래로 살살 움직이면 띠 하고 비프음이 한번납니다.
    그럼 EASY 세팅으로 들어 온것입니다.
    여기서 잠깐주의!! 6번에서 비프음 나온후 7번 단계 갈때 살살 스틱 움직이세요
    잘못하면 로터가 후아악~ 돌면 클납니다. 정상적으로 들어가셨다면 그럴일 없지만
    처음 하시는분들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부분에서 잘못해서 세팅모드로 들어가지 않은것으로
    인식하고 변속기가 모터를 마구 돌려버립니다 ....!!! ^^;;

EASY 세팅모드에서는 그림과 같이 4가지 세팅을 해줍니다.

피닉스를 쓰시는분들이 저에게 가장 많이 하시는 말씀이 쿼크는 렌딩후 스로틀을
끝까지 내렸을때 바로 로터가 죽지 않는다는 불만을 하십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쿼크도 바로 로터가 죽게 할수가 있답니다. ^^;;
그 정답이 HELI3 로 세팅하시면 됩니다.

위 그림에 세팅은 스틱을 위 아래로 움직여 보시면 LED 램프의 점멸이 바뀌는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그 점멸 상태를 보시면서 세팅하시면 됩니다.



1. 위 아래로 움직여 HELI3 로 점멸을 마추셔서 변속기 버튼을 누릅니다.
    헬리3 로 세팅을 하는 이유는 거버너 설정을 두가지로 할수있습니다.
    예로 거버너1 은 2400Rpm 으로 거버너2는 2700rpm 으로 요건 뒤에 다시 다루겠습니다.


2. 다음은 브레이크 설정 에서 헬리콥터는 당연히 브래이크가 걸리면 큰일 나겠지요?!
   그래서 0% 에 LED 점멸을 마추고 변속기 버튼을 누릅니다.



3. 배터리 선택에서는 메뉴얼로 선택해주세요 메뉴얼로 선택하시면 컷오프 설정으로 넘어가서
    원하시는 컷오프 지점을 설정하실수 있습니다. 하이나 노멀 선택을 하시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설정이 종료 됩니다. 메뉴얼로 선택하셨음면 변소기버튼 누르세요



4. 그럼 메뉴얼로 선택하셨으면 컷오프 지점을 설정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2.7V 기본값에 세팅했습니다.
    컷오프는 아시겠지만 폴리머 밧데리는 끝까지 쓰시면 안됩니다.
    부풀어 오르거나 밧데리를 못쓰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컷오프 설정을 꼭 하시고
    컷오프 되기 전까지만 타이머를 이용해서 날리시고 내리세용

자 이제 EASY 세팅이 끝났습니다.
그럼 ADVANCED 세팅을 해보아요 @@

1.세팅모드로 들어가는 방법은 EASY 와 반대로 송신기를 켜시고 스로틀스틱을 맨아래 고정합니다.
그 후 변속기를 켜세요 비프음이 납니다.
2.잠시 대기후 2-3초 변속기의 버튼을 누릅니다. 누르신 상태 그대로 천천히 맨위로 쭈욱 올립니다.
3.그 다음 역시 넉넉히 3-5 초정도 있다가 버튼에서 손을 놓습니다.
4. 이후 스로틀스틱을 위 아래로 찬찬히 움직이시면 EASY 와 같은 반응을 보입니다. 
    그럼 세팅모드로 들어오신겁니다.

그럼 위 그림과 같이 세팅을 해보지요 ADVANCED 모드에서는 총 7가지의 세팅을 합니다.
자 찬찬히 해보아요 @@



1. 맨 처음이 모터의 선택입니다. 모터는 In renner 와 Out runner 이 있습니다.
    초보분들을 위해 요건 멀까요 가지고 계신모터가 피니언을 끼는 축이 돌면 인러너모터이구요
    축과 함께 바깥통이 같이 돌면 아웃러너 입니다. 흔히 통돌이모터라고도 합니다.
    이와 같이 설정을 해주면 되긴하는데 여기 함정이 하나 있습니다.
    가지고 계신모터가 인러너모터이지만 pole수가 6개 이상이면 아웃러너 설정하시구요
    대표적인넘이 우리가 흔히 쓰는 메가모터 입니다. 요넘은 인러너지만 아웃러너설정해야합니다.
    아웃러너이지만  Kv값이 600 이하라면 인러너 설정을 해주시면됩니다.
    여기서 초보분들을 위한 서비스 하나더! Pole 는 무엇일까용 
   


요 그림에서 보시면 안쪽에 코일이 감겨져 있죠? 그림에 뱅글뱅글 도는것 그림상으로 보면
12개 입니다. 그럼 12pole 가 되는겁니다.
앗 그런데 저넘이 안보이는 넘이 있죠?! ㅜ,.ㅜ 그럼 구매처나 해당제품업체에 문의하세용 


2. 모터 설정하셨나요? 설정시에는 변속기 버튼 한번입니다. 누르라는 설명은 이제 뺄께요 ㅜ,.ㅜ
    다음은 슬로우스타트 설정인데 이넘은  OFF 설정하세요 쿼크33 윗 급의 변속기는 ON 사용하셔도 
    됩니다. 33은 슬로우스타트가 윙윙하고 천천히 돌다 너무도 갑자기 빨라져서 아차하믄 깰수도 있어용


3. 이제 Race / Safe 설정입니다.
    요넘은 Race 로 설정하세요. 피닉스나 기타의 변속기는 오토연습한다고 홀드를 치거나 했을때
    아니다 싶어! 홀드를 풀었을때 바로 살지 않지요?! 쿼크에서는 요넘을 Race로 설정해두시면 
    바로 로터가 살아납니다. ^^ 나이스!

 
 

4. 요넘은 OFF로 설정하세요 아시다 싶이 헬기는 무지한 노이즈를 발생하구요 순간 노콘이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넘을 ON 해두시면 변속기가 꺼져버립니다. 그래서 꼭 OFF 하세용


5. 토크설정은 Soft로 하세요 소프트로 해두시면 처음 기동시에 부드럽게 시작해줍니다.
   그렇다고 피닉스 처럼 확 올려두시면 절대 안됩니다. 메인로터 돌아가는거 보시면서 올리세요




6 위 그림에 두가지 세팅은 노멀로 세팅하세요 보시면 칠해져 있는 부분있죠! 그 값으로 세팅하시면
   됩니다. 

이제 모든 세팅이 되었습니다. 이제 거버너 세팅만 하면 됩니다.

후~ 힘드네요 이거 ㅡㅡ;;;


아 거버너는 처음에 우리가 헬리3 모드로 세팅을 했었지요 처음에 설명한것과 같이
거버너 설정을 헬리3로 하면 두가지 설정이 가능하다구요
그럼 시작해보죠!
설명이 쉽게 예로 거버너1은 2200rpm & 거버너2는 2500rpm 으로 맞추기로 하죠

1. 송신기를 켜시고 변속기도 켭니다. 안전을 위해 메인로터와 테일로터를 제거후에
    설정하세요 쿼크는 타 변속기와 달리 Pole 수 제어로 거버너를 설정하기 때문에
    메인 테일 없이 설정하셔도 그대로 rpm 이 나옵답니다.!
2. 조종기에서 스로틀 커브를 시작 0% 중립 50% 풀 100%로 기본값으로 마춰두셔야합니다.
    그런다음 스로틀을 아주 조금 올려서 스로틀이 천천히 돌아가게 하고 천천히 돌아갈때
    변속기 버튼을 한번 누릅니다. 그럼 모터가 멈춥니다.
3. 그 다음 스로틀을 맨 아래로 내리고 rpm측정기를 준비하시고 없으심녀 감으로 해야합니다.
4. 이제다시 스로틀을 천천히 올립니다. 첫번째는 2200 에 맞춘다고 하면 이 되는 지점까지
   스로틀을 올립니다. 2200 이 으로 돌면 변속기 버튼을 누릅니다. 그럼 로터가 다시 멈추지요!
   그럼 스로틀을 맨 아래로 다시 내리시고
5. 스로틀을 다시 천천히 올려봅니다. 그럼 로터가 돌지않지요! 그 상태로 쭉 올리다 보면
   어느 지점에서 변속기 초록(그린) 램프가 들어올텐데 램프가 들어오고 난뒤 85% 혹은 90%
   의 스로틀 포지션에서 멈추시고 변속기 버튼을 다시 누릅니다. (왜? 85% 95% 는 마지막에
  다시 설명드리겠습다.)
6. 그 다음 다시 맨 아래로 내리고 다시 천천히 올리면 로터가 돌고 2500 이 나오는 지점까지
    스로틀을 올립니다. 2500 이 나오시면 다시 변속기 버튼을 누릅니다.
7. 그럼 거버너 세팅이 끝이 났습니다. 변속기는 두개의 거버너 2200 과 2500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정말 이제 마지막 !!!!


설정중에 85% 혹은 95% 지점에서 버튼을 한번 눌러주시라고 했지요?!
이건 왜 그랬냐면요 거버너1 과 거버너2 를 구분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85% 지점에서 버튼을 누르셨다고 가정하고 
거버너1 2200 은 85%를 넘어서면서 거버너가 걸리는 겁니다.
아이들1 에서의 커브를 85% 로 쭉 그어 놓으시면 2200 으로 돌게되고
아이들2 에서 커브를 100% 로 그어 놓으시면 2500 으로 돌게 됩니다.
포지션 위치는 아이들 1/2 관계없이 스로틀 위치에 따라 지정 rpm 으로 돌게되는거죠!
이해하셨지요?!
한가지 주의할점은 85%에 거버너 1을 세팅하셨으면 90% 정도로 하세요 
간혹 85% 에서 거버너가 안걸리고 조금 위에서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거버너 1 설정시에는 95% 보다는 85% 에 걸어두시는것이 좋겠죠?!!!!!


후 이상 쿼크 변속기 설정을 마칩니다.
위 설정법은 33뿐만 아니라 상위의 변속기도 같은 방법이라구요 ^^;;

제가 쓴 글에 오류가 있거나 더 낳은 설명이 있으시면 리플달아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ㅜ,.ㅜ 

글의 저작권은 다음카페 LUF 에 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http://cafe.daum.net/LUF)

출처 : LUF(LeptonEX USERs Forum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은행계좌안내




    • 예금주